본문 바로가기
정보

2025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 조건 및 신청 방법

by now정보시대 2024. 10. 2.

목차

    반응형

    2025년 주거안정 장학금은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신설된 장학금입니다. 이 장학금은 기초 및 차상위 계층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, 월 20만 원이 지원됩니다.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
    주거안정장학금

    주거안정 장학금 개요

    • 신설 배경: 정부는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거안정 장학금을 신설하였습니다. 이는 특히 원거리에서 진학한 기초 및 차상위 계층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    • 지원 대상: 4만2000명의 기초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이 이 장학금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지원 금액: 매달 20만원이 지원되며, 이는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크게 경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    주거안정장학금주거안정장학금

    추가 정보: 근로장학금 확대

    • 근로장학금 대상 확대: 2025년부터 근로장학금의 지원 대상이 14만명에서 20만명으로 늘어납니다. 이는 학생들이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정책입니다.
    • 예산 증액: 근로장학금 지원을 위해 추가로 1,667억원이 배정될 예정입니다. 이는 학생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.

   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하기

   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. 방학중에는 신청이 불가하니 빠른신청 해 보세요.

     

    장학금신청하기

     

   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 자격

    • 소득 기준:
      •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5구간 이하의 학생이 대상입니다. 이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 해당합니다.
  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
    -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30% 이하.
    -재산 기준:서울은 9,900만원, 기타 지역5,300만원 이하.
    -부양의무자 기준: 부양의무자가 있는 경우, 그들의 소득과 재산도 고려됨.
    -혜택: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다양한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  -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50% 이하.
    -재산 기준: 서울은 1억 3,500만원, 기타 지역 8,500만원 이하.
    -부양의무자 기준: 부양의무자의 소득과 재산은 고려되지 않음
    -혜택: 주로 교육급여, 자활 지원, 장애인 지원, 에너지 바우처 등 특정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• 학업 요건:
      • 대학교에 재학 중이며, 학점 기준으로 B학점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.
      • 재학생도 신청가능합니다.​
    • 거주 요건:
      • 학교 인근에 거주하고 있다는 증빙이 필요합니다. 이는 주거안정 장학금이 주거비 지원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.
      • 원거리 대학 재학 : 같은 지역이라도 통학에 편도 2시간 이상이 걸리는 경우에 해당합니다.

         

        ( 청년월세(국토부) ,주거급여 분리지급(국토부) 등 기존 월세 지원 수혜자는 제외)

     주거안정 장학금 신청 시 필요한 서류

    • 주민등록초본: 신청자의 주소 확인을 위한 서류입니다.
    • 재학증명서: 현재 재학 중인 학교에서 발급받아야 합니다.
    • 성적 증명서: 학업 성적을 증명하는 서류로, 최근 성적이 포함되어야 합니다.
    •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: 주거지를 증명하기 위한 서류로, 임대차 계약의 사본이 필요합니다.
    • 통장 사본: 장학금 지급을 위한 계좌 정보 확인을 위해 필요합니다
    주거안정장학금주거안정장학금

    결론

    2025년 주거안정 장학금은 기초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들에게 월 20만 원을 지원하여 주거비 부담을 줄이는 중요한 정책입니다. 또한, 근로장학금의 확대는 학생들이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경제적 자립을 도울 것입니다. 이러한 지원은 학생들의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    이 장학금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는 정부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